서론
- 2022–08–22~ 기준으로 GA4 세팅을 다루는 포스팅이다.
- 사이트에서 유의미한 데이터를 얻고 분석해서 서비스의 고도화나 지표 관리가 필요하다면 Google 애널리틱스 4 (이하 GA4)는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되었다.
- 거두절미하고 바로 GA4 세팅 들어갑니다.
계정 생성
- GA4를 처음 시작하는 분들이라면 계정 생성을 먼저 해야한다.
- Google Analytics로 이동 후, 이후 측정 시작을 눌러주자

환영합니다
- 먼저 계정 생성은 1. 계정 설정 -> 2. 속성 설정 -> 3. 비즈니스 정보 순으로 진행된다.
1–1. 계정 설정
- 먼저 계정 이름을 설정 해준다.
- 필자는 test-ga4라 정하겠다.

계정 이름 설정
- 그 다음 바로 아래 필요한 설정들을 체크 후 다음을 눌러준다.
- 아래의 사진은 기본 세팅

추가 세팅 (기본 체크)
1–2. 속성 설정
- 속성은 실제로App이나 Web 분석하여 통계를 보여주는 컨테이너이다.
- 속성 이름과 보고 시간대, 통화를 설정한 후 다음을 눌러준다.

입맛대로 설정
- 참고로 고급 옵션 보기를 누르고 최우즉의 토글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옵션이 보인다.
- GA 유니버셜 애널리틱스의 경우 2023년 7월 1일 이후 부터 데이터를 수집, 처리하지 않으니 처음 GA를 접하는 유저라면 GA4만 설정하도록 하자.

비활성화 하고 진행하자
1–3. 비즈니스 설정
- 본인의 상황에 맞게 선택 후, 만들기를 누른다.

입맛대로 설정2
끝난 줄 알았겠지만?…
- 한 단계 더 남았다.
- 국가를 선택 하고, 약관 동의 체크박스 체크 후 동의함을 누른다.

추가 동의 모달
마무리
- 아래와 같은 페이지로 이동 했다면 드디어 GA4 적용을 위한 첫 단계를 클리어 했다.
- 다음 포스팅에서는 초기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한 데이터 스트림을 세팅해 보겠다.

DONE!
참고
- 혹시나 포스팅을 보며 따라하던 도중 약관 동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권한이 거부되었습니다. 라는 문구와 함께 계정 생성에 실패했다면 당황하지말고 약관 창을 닫은 후 다시 만들기를 클릭해서 진행해보자.
- 그러면 정상적으로 생성이 될 것이다. (본인 경험 담)
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